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1

사회성 발달(자아존중감,공중도덕, 또래관계)을 위한 생활지도 1 1)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지도방법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아의 기를 살릴 수 있는 방향으로 지도해야 한다. 유아의 기를 살릴 수 있는 방법에는 자신감 심어 주기, 강점 키워주기, 존중해 주기, 독립심 키워 주기 등이 있다. 유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구체적 지도전략은 다음과 같다. 구분 전략 내용 및 지도사례 자신감심어주기 책임감 부여하기 유아의 능력에 대해 알고 있는 선 안에서 책임감을 부여한다. "이 색종이를 친구들에게 3장씩 나눠 주렴." 조언 경청하기 유아에게 어떤 견해를 묻거나 우엇인가를 가르쳐 달라고 한다. "이 훌라우프를 가지고 어떻게 놀면 재미있을까?" 개입 충동 억제하기 아이가 어려워하거나 불편해 하더라도 해결해 주려 하지 말고 끝까지 해낼 수 있게 기다려 준다. ".. 2023. 9. 20.
행동수정기법2(정적강화, 부적강화, 벌-타임아웃 등, 소멸법) 강화는 어떤 행동을 한 뒤에 유기체가 원하는 자극을 제공하여 행동의 빈도수를 높이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쾌자극의 제공뿐 아니라 혐오자극의 제거로도 유기체를 강화시킬 수 있는데, 쾌자극의 제공으로 행동의 빈도수를 높이는 강화를 정적강화라 하고 혐오자극의 제거로 행동의 빈도수를 높이는 강화를 부적 강화라고 한다. 강화를 비롯해 양육의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행동수정 기법을 다음과 같다. 1)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기법 (1) 정적 강화 바람직한 행동을 유지하거나 증가시키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보상으로 정적 강화를 하는 것이다. 정적 강화는 쾌자극의 제공을 통해 유기체의 바람직한 행동을 강화시키는 방법으로, 아동의 특정 행동에 뒤따라 주어져 앞으로 그 행동이 일어날 확률이나 지속.. 2023. 8. 27.
행동수정1(고전적 조건화-파블로프, 조작적 조건화-스키너) 행동수정의 기본원리 행동수정은 인간 행동을 분석하고 수정하는 응용심리학의 분야로 광의로는 행동의 변화, 협의로는 행동주의 학습이론 중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에 근거한 행동의 재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상담과 심리치료 영역에서 행동수정이란 행동주의 심리학 개념과 원리를 적용하여 부적응행동을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행동수정 접근에서는 문제행동을 학습의 결과로 간주하므로 행동수정 절차를 통해 문제행동을 수정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적절한 행동을 학습하도록 촉진하면서 부적절한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환경을 마련하여 문제행동을 지도한다. 행동수정 접근은 문제행동 자체에 관심을 두며 학습이론에 따라 모든 행동을 설명한다. 1)고전적 조건화 파블로프(Pavlov, 1927)는 조건화라는 과정을 통해 행동.. 2023. 8. 24.
본보기를 통한 학습 : 모델링 - 반두라(사회학습이론) 1) 모델링의 기본원리 아동은 반드시 누군가의 직접적인 가르침을 받아 학습하는 것은 아니며 주변 사람의 행동이나 그 결과를 관찰하고 모방함으로써 많은 것을 배운다. 반두라(Bandura,1977)의 주장에 따르면 아동의 행동 변화는 이처럼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시작된다. 아동은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하는 과정을 통해 자기보상을 경험하면 스스로 자신의 행위를 통제하게 된다. 타인이 본보기를 제공하고 아동이 이를 관찰해 모방하는 과정이 바로 모델링이다. 모텔링의 대상은 아동이 중요하게 여기고 애정을 느끼는 사람인 경우 효과가 가장 크므로 교사, 부모, 또래가 효과적인 모델이 된다. 2) 본보기를 통한 학습 반두라는 아동의 행동은 다를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고 주의를 기울이며 기억하고 인지적으로.. 2023. 8.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