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1

애착-보울비(Bowlby), 에인스워스(Ainsworth)의 애착과 행동문제, 애착과 신뢰감 발달에 관한 이론 애착의 발달 애착이란 영아와 주요 양육자(주로 어머니) 간에 형성되는 매우 강력한 심리적, 정서적 유대감으로, 안정적인 애착의 형성은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중요한 기초가 된다. 보울비(Bowlby)에 따르면, 영아는 양육자와의 애작 관련 경험을 토대로 타인과의 관계 형성에 대한 내적 작동 모델을 구성하게 된다. 내적 작동 모델은 의식적이지는 않지만 영유아의 사회 및 정서발달에 기초가 되고, 영유아가 세상과 다른 사 람들 그리고 자기 자신을 어떻게 바라볼지 안내해 준다. 또한 이 모텔은 영유아가 성인, 또래 등과의 관계를 포함한 이후 관계 맺음의 기반으로 작용한다. 보울비와 에인스워스(Ainsworth)의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초기 애착과 여기서 비롯된 내적 작동 모델이 영유아와 주변 성인 간 관계.. 2023. 8. 19.
미네소타 어린이교육협회에 따른 유아생활지도 원리 1)발달에 적합한 유아생활지도의 특성 미네소타 어린이교육협회(Minnesota NAEYC, 2014)'에 따른 발달에 적합한 유아생활지도'의 원리는 피아제가 강조한 영유아의 자율성을 키워 주는 것이다. 발달에 적합한 생활지도에서 또래와의 갈등을 처벌의 대상으로 삼기보다 서로 가르치고 배우는 기회로 삼으며, 영유아의 실수를 훈련이나 훈육의 대상으로 삼기보다는 자신의 실수로부터 배울 수 있도록 돕는 기회로 삼는다. 또한 영유아가 일으킨 문제에 대하여 처벌하기보다는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배우도록 돕는 기회로 삼는다. 즉, 생활지도의 목표를 영유아의 자율성을 신장시키도록 도와주는 발달지원의 차원으로 보는 것이다. 미네소타 어린이 교육협회에서 제시하는 발달적으로 적합한 생활지도의 원칙은 다음과 같다. ①.. 2023. 8. 10.
훈육과 지도 훈육과 지도의 정의 아동을 훈육하거나 지도하는 과정은 아동양육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부분이다. 역사적으로 아동의 훈육 및 지도와 관련된 철학과 신념은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 변화되어 왔다. 현대사회에서 아동생활지도는 기존의 '훈육(discipline)'의 의미보다는 새로운 '지도(guidance)'의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훈육은 품성이나 도덕 따위를 가르쳐 기른다는 의미이다. 훈육은 흔히 사회적 규제나 학교의 규율과 같이 사회적으로 명백하게 요청되는 행위나 습관을 형성시키고 발전시키는 것을 뜻한다. 이때의 훈육이라 함은 단체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적응하기 위해서 요청되는 여러 가지 바람직한 습관을 형성시키거나, 반대로 규율위반과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행위는 교정하여 없애는 것을 말한다. 이에 비교하여 .. 2023. 7.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