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수정의 기본원리
행동수정은 인간 행동을 분석하고 수정하는 응용심리학의 분야로 광의로는 행동의 변화, 협의로는 행동주의 학습이론 중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에 근거한 행동의 재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상담과 심리치료 영역에서 행동수정이란 행동주의 심리학 개념과 원리를 적용하여 부적응행동을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행동수정 접근에서는 문제행동을 학습의 결과로 간주하므로 행동수정 절차를 통해 문제행동을 수정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적절한 행동을 학습하도록 촉진하면서 부적절한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환경을 마련하여 문제행동을 지도한다. 행동수정 접근은 문제행동 자체에 관심을 두며 학습이론에 따라 모든 행동을 설명한다.
1)고전적 조건화
파블로프(Pavlov, 1927)는 조건화라는 과정을 통해 행동의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조건화란 평소 특정한 반응을 이끌어 내지 못했던 자극(중성자국, NS: Neutral Stimulus)이 무조건적인 반응(무조건반응, UCR: UnConditioned
Response) 을 이끌어 내는 자극(무조건자극, UCS: UnConditioned Stimulus)과 연합하는 과정을 말한다. 조건화가 이루어지면 중성자극은 조건자극(CS: Conditioned Stimulus)이 되어 조건반응(CR: Conditioned Response)을 이끌어 낸다.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는 개의 타액 분비 실험에서 관찰된 것으로 개에게 종소리(중성자극)와 먹이(무조건자극)를 연합시키면 개가 종소리(조건자극)만 듣고도 침을 흘리듯(조건반사), 사람도 특정 자극과 선천적으로 반응을 일으키는 자극을 연합시키면 특정 자극만 주어져도 반응을 나타내게 된다는 것이다. 이런 고전적 조건화가 일어나는 이유는 어떤 유기체가 조건자극(CS)을 제공받으면 곧이어 무조건자극(UCS)도 함께 제공받을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즉, 조건자극을 무조건자극이 제공된다는 신호로 파악한다는 것이다.
고전적 조건화의 또 다른 예는 왓슨(Watson)의 실험에서 찾아볼 수 있다. 왓슨과 그의 동료들은 실험을 통해 앨버트(Albert)라는 아이가 흰쥐에게 공포를 느끼도록 만들었다. 본래 흰쥐에게 공포를 느끼지 않던 앨버트에게 흰쥐한테 다가가거나 만질 때마다 갑작스런 큰 소리를 들려주었고 결국 앨버트가 흰쥐를 무서워하게 되었다. 이 실험에서 큰 소리는 무조건자극이 되고 놀라는 반응은 무조건반응이다. 처음에는 무서움을 느끼지 않았던 흰쥐(중성자극)와 큰 소리(무조건자극)를 지속적으로 연합하면 흰쥐(조건자극)만 보아도 놀라는 반응(조건반용)을 나타낸 것으로. 이는 고전적 조건화의 전형적인 예가 된다.
2) 조작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화(operant conditioning)는 이떤 반응에 대해 선택적으로 보상함으로써 그 반응이 일어날 확률을 증가시키기나 감소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조작행동은 어떤 유기체가 능동적으로 환경에 작용을 가하는 행동을 말하는데, 유기체가 행하는 조작행동은 그 결과에 따라 증가되기도 하고 감소되기도 한다. 이렇게 결과의 유 · 불리에 따라 어떤 반응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이 조작적 조건화이다.
스키너(skinner)가 제시한 조작적 조건형성은 스키너 상자를 통해 실험되고 증명되었다. 스키너 상자는 내부에 설치된 지렛대가 먹이봉과 연결되어 지렛대를 누르면 먹이가 나오도록 되어 있다. 이 상자에 배고픈 흰쥐를 넣어 조작적 조건형성을 실험했는데, 상자 안을 돌아다니다가 우연히 지렛대를 누른 흰쥐는 먹이가 나오는 것을 보고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을 자주 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흰쥐는 지렛대를 누르면 먹이가 나온다는 사실을 학습하게 된다. 이 실험에서 흰쥐가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은 먹이에 의해 강화되었다. 만약 지렛대를 눌렀을 때 먹이가 나오지 않았다면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을 학습하지 못했을 것이다. 이렇게 어떤 행동을 한 뒤에 유기체가 원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강화(reinforcement) 라고 한다. 조작적 조건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강화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스키너는 조작적 조건화를 통해 인간의 행동에는 반드시 어떤 결과가 뒤따르며 이 결과의 속성이 앞으로 그 행동을 하는 횟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조작적 조건화의 예는 집에 손님만 오면 돈을 달라고 하는 철수의 경우에서 볼 수 있다. 평소 아이스크림을 살 돈을 안 주는 어머니는 옆집 아주머니가 집에 놀러왔을 때 돈을 달라고 조르면 얼른 주었다. 이런 일이 몇 번 반복되면 철수는 집에 손님이 왔을 때 돈을 달라고 하면 쉽게 얻을 수 있음을 학습하게 된다.
다음장에서는 행동수정의 기본 원리에 이어서 행동수정 기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방법과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감소시키는 기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