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본생활지도(수면습관지도)3

by 긍정마인드 썬 2023. 10. 18.

   수면은 낮 동안 사용하였던 뇌의 신경세포를 다시 정리하고 육체적 · 정신적 피로의 회복과 건강한 생활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생후 4개월이 되면 주로 낮 시간에 각성을 하고 밤 시간에 수면을 하는 패턴이 가능하도록 영아의 중추신경계가 성숙되며, 유아는 성장해 가면서 더욱 규칙적인 수면습관을 가지게 된다. 성인은 하루 8시간 정도의 수면으로 충분하지만, 1~2세 영아는 12~14시간, 2~5세 유아는 10~ 12시간, 5세 이상의 아동은 10시간 정도의 수면이 필요하다. 특히 활동량이 많은 유아와 아동은 건강과 성장을 위하여 야간 수면뿐만 아니라 1일 1회 이상의 낮잠을 필요로 한다.
   아동에게 지도해야 할 수면습관에는 일정한 시간에 수면을 하고, 충분한 시간 숙면을 취하는 것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잠을 푹 자지 못한 이동은 심리적으로 상당히 불안해지며, 생활의 리듬이 일정치 않아 신경질적인 성향을 보일 수도 있다. 일정하지 않거나 충분하지 못한 수면습관은 식사나 배변 같은 기본생활습관 형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더욱이 잠을 깊게 자지 못하면 식욕부진, 신경증 등의 증세가 유발되어 발육에 문제를 가져오기 쉬우므로 아동의 수면습관은 건강에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장선철, 2006). 따라서 아동이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편안한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수면습관 지도의 내용

○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난다
  매일 8~10시간 정도 계속해서 푹 잔다.
  잠투정을 하지 않는다
  어른들께 인사하고 잠자리에 든다
  유아기에 접어들면 혼자서 잔다.
  자기 전에 용변을 본다
  자기 전에 양치질과 세수를 한다.
  자기 전에 음식을 먹지 않는다.

▶ 수면습관 지도 시 유의사항

  아동이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충분한 활동을 제공하고 하루 일과를 균형 있게 계획하며, 무엇보다 규칙적인 취침시간        을 갖는다.
  아동의 피곤 정도나 흥분 정도를 조절한다. 너무 피곤하거나 흥분되면 잠이 들기 어려우므로 자기 전에 마음을 가라앉        히고 수면을 도울 수 있는 조용한 음악이나 이야기를 들려준다.

  수면을 취하기 편안한 환경을 구성한다. 낮잠공간을 따로 마련하어 빛과 소음을 차단하고, 18~23℃의 적절한 온도를 유      지하며, 아동이 좋아하는 장난감을 가지고 잘 수 있도록 배려하여 아늑하고 편안하게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기관에서는 가족 및 아동의 수면습관, 수면시간, 생활 리듬 등을 부모로부터 파악하여 가정에서의 수면지도와 연계되도      록 한다.

 

▶ 수면습관 지도활동의 실례

활동명 국화 포푸리 만들기
활동목표 1. 숙면을 취하는 데 도움음 주는 방법을 알아본다.
2. 편안한 마음으로 숙면을 취한다.
준비물 말린 국화 꽃잎, 포푸리 만들 망, 마늘, 실
활동내용 1. 말린 국화 꽃잎을 베갯잇 속에 넣어 베고 갔던 조상들의 지혜를 알아본다.
2. 말린 국화 꽃잎을 가지고 직접 국화 포푸리를 만들어 보자고 제안한다
3. 망 안에 말린 국화 꽃잎을 넣은 후 입구를 실로 꿰맨다. 이때 유아가 바늘을
조심스럽게 디률 수 있도록 주의를 준다.
4. 완성된 국화 포푸리를 베개 밑에 넣고 낮잠을 청한다. 이때 교사는 숙면에
도움이 되는 전통음악을 들려준다.
5. 낮잠을 자고 일어난 후 국화 향기가 숙면에 도움을 주 있는지에 대해 함께 이
야기 나누어 본다.
*정말 국화 포푸리를 베개 밀에 넣고 갔더니 잠이 잘 왔나요?"
*자고 난 뒤 어떤 느낌이 드나요?"